dev.Log
ELB 본문
로드밸런싱 : 서버 또는 서버셋으로 트래픽을 백엔드나 다운스트림 EC2 인스턴스 또는 서버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함
유저는 백엔드 서버셋의 어떤 서버로 연결되는지 모른다. 유저들은 자신들이 ELB에 연결되면 한 엔드포인트에 연결된다는 것만 안다.
- ELB 하는 일
- 부하를 다수의 다운스트림 인스턴스로 분산함
- 애플리케이션에 단일 액세스 지점(DNS)를 노출함
- 다운스트림 인스턴스의 장애를 원활하게 처리
- health check : 인스턴스의 상태를 확인
- SSL termination : 암호화된 HTTPS 트래픽을 제공
- 쿠키로 stickiness를 강화
- 다중 AZ에 걸쳐 고가용성을 가짐
- 클라우드 내에서 개인 트래픽과 공공 트래픽을 분리 가능
- ELB는 관리형 로드밸랜서이기도 하다. (managed load balancer) -> AWS 가 관리하며 어떤 경우에도 작동할 것을 보장한다. AWS가 업그레이드 및 유지관리, 고가용성을 책임진다. 자체 로드밸랜서보다 저렴함.. 사용추천
- ELB의 종류
1. CLB (Classic Load Balancer)
- HTTP, HTTPS(7계층), TCP(4계층), SSL, secure TCP 를 지원함
- 옛날거라 사용 권장하지 않음
2. ALB (Application Load Balancer)
- HTTP, HTTPS, WebSocket 프로토콜 제공 (7계층 전용 로드밸런서)
- 머신간 다수 HTTP 애플리케이션간의 라우팅에 사용됨
- 동일 EC2 인스턴스 상의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부하를 분산시킴 (컨테이너, ECS 사용)
- HTTP에서 HTTPS로 트래픽을 자동 리다이렉트
- URL 대상 경로에 기반한 라우팅 가능 (khjk.tistory.com/post & khjk.tistory.com/list)
- 호스트 이름에 기반한 라우팅 가능 (khjk.tistory.com & someone.tistory.com)
- 쿼리 문자열과 헤더에 기반한 라우팅 가능(khjk.tistory.com/post?id=123)
- 마이크로 서비스나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가장 좋은 로드밸런서
- 포트맵핑 : ECS 인스턴스의 동적 포트로의 리다이렉션을 가능하게 함
- CLB는 애플리케이션 개수만큼 필요하지만, ALB는 한개로 됨
3. NLB (Network Load Balancer)
- TCP, TLS, secure TCP, UDP 프로토콜 제공
4. GWLB(Gateway LoadBalancer)
네트워크층(3계층)과 IP 프로토콜에서 작동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SAA-C02 연습문제 (0) | 2022.08.24 |
---|---|
AWS SAA-C02 연습문제 (0) | 2022.08.24 |
AWS 보안 (0) | 2022.08.24 |
AWS SAA-C02 연습문제 (0) | 2022.08.24 |
AWS SAA-C02 연습문제 (0) | 2022.08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