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.Log
transition과 transform 본문
***참고 : CSS애니메이션 모듈과 CSS 트랜지션은 완전히 다르다~~!
transition (화면이동) : 변형되는 중간의 상태
transform (변형)
transition에는 두개의 스타일이 필요하다. 첫번째 스타일은 초기상태이고, 두번쨰 스타일은 종료상태이다.
trigger :hover, :active, :target, :focus등이 있고, javscript를 활용해도 된다.
a {
background: yellow;
color: #000;
/* 전이가 일어날 속성값을 정의 */
transition-property: background-color;
/* 전이가 발생되는 시간 명시 */ /* 1000밀리초와 같다 */
transition-duration: 1s;
/* 등속도 */
transition-timing-function: linear;
/* 500밀리초 */
transition-delay: .5s;
}
a:hover {
background-color: blue;
color: #fff;
}
- transition-property : 화면 이동에 영향을 받는 속성으로 이 값을 지정하면 특정 사항에 대해서만 화면 이동 효과가 나타난다.(어떤 속성을 트랜지션 할 것인지)
- transition-duration : CSS 효과가 반영되는데 걸리는 시간, 즉 화면 이동이 종료되기 까지 걸리는 시간(트랜지션이 일어나는 지속시간)
- transition-timing-function : 타이밍 함수(어떤 움직임(시간에 따른 가속이나 감속)으로 반영할 것인지)
- transition-delay : 트랜지션 지연시간(애니메이션을 지연시킬 때)
- transition : 트랜지션 속기형(위의 속성들을 한데 모아서 작성할 때)
1. 애니메이션을 처리할 속성 (transition-property)
2. 애니메이션 지속 시간 (transition-duration)
3. 애니메이션 linear 여부 (transition-timing-function)
4.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시간 (transition-delay)
종합 표현 => transition: 속성 지속시간 timing속성 지연시간 ex) transition: opacity .5s linear 2s;
⭐hover상태일때 화면 전환이 일어나기를 원하는경우 :hover규칙이 아닌 원대상에 정의되어야한다.
이렇게 잘못작성하면 요소가 다시 점진적으로 변하지않고 본래의 기본스타일로 빠르게 되돌아간다.
잘못된 예
a { background: blue; }
a:hover { background: red; transition: background .5s ease-in-out; }
올바른 예
a { background: blue; transition: background .5s ease-in-out; }
a:hover { background: red; }
출처: https://webclub.tistory.com/620 [Web Club]
transform 속성 :
1. scale(1.2, 0.2)
2. rotate(180deg)
3. translate(-10px, 10px) x축또는 y축이동
4. skew() 기울이기
transform-origin : 옮기면서 지정 요소의 기준점또한 변경
'<FRONTEND>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응형 프로그래밍 (0) | 2021.12.06 |
---|---|
MIME 타입이란 (0) | 2020.07.20 |
GNB, LNB, SNB, FNB (1) | 2020.07.11 |
리액트 면접질문 (0) | 2020.07.11 |
ajax - Gson 활용 (0) | 2020.07.09 |